5월 31일 오전 서울시에서 경계경보 위급재난 문자를 보냈습니다. 이 문자는 오발령으로 정정되면서 큰 혼란을 일으켰습니다. 경계경보는 적의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되는 것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많은 서울시 주민들이 큰 불안을 겪었습니다. 그 내용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서울시 행정안전부 경계경보
서울시 행정안전부에서 보낸 경계경보입니다. 처음에는 6시 32분 서울지역 기준으로 경계경보를 발령하였고 국민들이 대피하도록 하는 내용을 보냈습니다. 그 후 6시 41분에 경계경보는 오 발령임을 알리는 문자를 보냈습니다. 약 9분의 시간 동안 서울시는 불안에 휩싸였습니다.
실제로 이 날에 서울시 용산구 주민 일부는 긴급 대피를 했습니다. 재난 문자 발송 즉시 용산구 확성기를 통해 긴급 대피 안내를 했기 때문입니다. 용산구는 오발령 문자 발송 후 다시 주민들을 일상으로 돌아가도록 안내했습니다.
해당 내용에 관한 뉴스입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특보] 서울 지역 ‘경계 경보’ 문자 오발령
KBS뉴스 |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tv.naver.com
서울시 입장
서울시에서는 "행전안전부 중앙통제소에서 '오전 6시 30분에 백령도에서 경계경보 발령하였고 경보 미수신 지역은 자체적으로 실제 경계경보를 발령하라'는 내용의 지령 방송을 보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상황 파악 전 먼저 경계경보를 발령했고 확인 후 해제해야 한다는 것이 서울시의 입장이었습니다.
실제로 북한은 31일 남쪽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습니다. 북한은 31일 새벽 6시 29분쯤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1발을 발사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오전 8시 5분경 어청도 서방 해상에서 인양 중입니다.
경계경보 문제점
가장 다행힌 부분은 실제 경계경보 상황이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해야 할 부분을 찾아야 합니다. 그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 주민들에게 문자가 도달한 시간은 오전 6시 41분이라고 합니다. 경계경보 발령 시각은 6시 32분이었지만 9분이나 늦은 시간에 문자를 보냈다는 것입니다. 만약 실제 상황이었다고 한다면 대피 시간이 현저히 늦어진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경계경보 내용을 살펴보면 "오늘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입니다. 이 부분에서 현재 어떤 상황인지, 어디로 대피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한 내용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만약 실제 상황일 경우 이 문자를 받고 나서 여러분은 어떤 판단을 하실 건가요?
서울시 관계자는 "북한의 실제적 위협이 한반도 영토에 영향을 준 게 근본적인 위기의 본질"이라고 하며 "북한 발사체의 위험도가 파악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도권 시민들의 생명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기 가능성을 고려해 긴급 조치를 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이해되는 부분도 있지만 조금 더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되는 점입니다.